AMD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프리징 현상과 그 해결책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잠시 자리를 비운 후 돌아왔을 때 시스템이 멈추는 현상을 경험하셨나요? 특히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와 AMD 메인보드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프리징 현상의 원인과 효과적인 해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그래픽 드라이버 문제 해결
컴퓨터가 자리 비움 후 멈추는 현상은 의외로 그래픽 드라이버에서 기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AMD 라데온 계열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특정 드라이버 버전이 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흔히 "절전 모드 진입 후 복귀 불가" 또는 "화면 정지 상태에서 입력 불가" 형태로 나타나며,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재설치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드라이버 최신 버전 확인 및 설치
우선 AMD 공식 웹사이트에서 현재 사용 중인 그래픽카드 모델에 맞는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세요. 자동 감지 도구를 사용하면 더욱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최신 버전은 보안 및 안정성 패치가 포함되어 있어 프리징 문제를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기존 드라이버 완전 제거 후 재설치
기존 드라이버가 비정상적으로 설치되었거나 오래된 설정이 남아있는 경우 문제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럴 땐 DDU(Display Driver Uninstaller) 같은 도구를 이용해 안전 모드에서 드라이버를 완전히 제거한 후, 재부팅 후 새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 업데이트 비활성화
윈도우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오래된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문제를 재발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장치 관리자에서 드라이버 자동 업데이트를 차단하여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설정 초기화 및 클린 인스톨
AMD 드라이버 설치 시 ‘클린 인스톨’ 옵션을 선택하면 기존 설정을 모두 초기화하고 깨끗한 환경에서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설정 충돌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처럼 그래픽 드라이버 문제는 간단한 업데이트 또는 초기화만으로도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AMD 라데온 사용자라면 최신 드라이버 유지와 함께 드라이버 충돌 방지를 위한 클린 인스톨 과정을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메모리 무결성 설정 변경
잠시 자리를 비운 뒤 컴퓨터가 멈춰버리는 증상은 메모리 무결성 기능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윈도우의 코어 격리(Core Isolation) 보안 기능 중 하나로, 악성 코드가 시스템 메모리를 변조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하지만 AMD 시스템, 특히 특정 드라이버와 충돌 시 성능 저하 또는 프리징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무결성이란?
메모리 무결성은 하드웨어 수준에서 메모리 보호를 제공하며, Windows 10 이상 버전에서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보안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드라이버가 메모리의 핵심 영역을 침범하지 못하게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구형 드라이버나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와 충돌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설정 변경 방법
설정을 변경하려면 아래 단계를 따르세요:
- 시작 메뉴에서 ‘Windows 보안’을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디바이스 보안’ → ‘코어 격리 세부 정보’를 클릭합니다.
- ‘메모리 무결성’ 항목을 끔(OFF)으로 전환합니다.
-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적용합니다.
주의사항
이 기능을 비활성화하면 일부 보안 기능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 환경에서만 비활성화하며, 이후 문제가 해결되면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한 뒤 다시 활성화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 설정이 중요한 이유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메모리 무결성 설정이 특정 버전의 드라이버와 충돌하여 멈춤 현상을 유발하는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해당 설정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고, 자리 비움 후에도 원활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메모리 무결성 설정은 보안과 성능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하는 민감한 항목입니다. 프리징 현상이 반복될 경우, 이 설정을 점검해 보는 것만으로도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3. fTPM 기능 비활성화
최근 AMD 시스템 사용자 사이에서 자리를 비운 후 컴퓨터가 먹통이 되는 현상이 자주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fTPM(Firmware TPM) 기능이 이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이 기능은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고안되었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시스템의 응답성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습니다.
fTPM이란?
fTPM(Firmware Trusted Platform Module)은 하드웨어 TPM 칩이 아닌, 펌웨어 기반으로 보안 키를 저장하는 기술입니다. 윈도우 11에서 필수 조건으로 요구되며, BIOS를 통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AMD 시스템에서는 이 기능이 백그라운드에서 간헐적인 지연(Latency)을 유발하며, 프리징 현상과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습니다.
fTPM 비활성화 방법
아래 단계를 따라 BIOS에서 fTPM 기능을 끌 수 있습니다:
- 컴퓨터를 재시작하고 BIOS 또는 UEFI 설정에 진입합니다 (대부분 DEL 또는 F2 키).
- Advanced 또는 Security 탭으로 이동합니다.
- AMD fTPM configuration 또는 Trusted Computing 항목을 찾습니다.
- fTPM을 Disabled 또는 Discrete TPM으로 설정합니다.
- 변경사항 저장 후 재부팅합니다.
중요한 주의사항
fTPM을 끄면 일부 보안 기능(특히 윈도우 11의 보안 요구사항)에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비트로커(BitLocker)를 사용하는 경우 드라이브 암호화 복원키가 필요할 수 있으니, 미리 백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왜 fTPM이 문제인가?
AMD는 fTPM 관련 문제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일부 메인보드 제조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BIOS 업데이트를 배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한 후, BIOS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다시 활성화하는 방식을 권장합니다.
AMD 기반 시스템에서 fTPM 비활성화는 프리징이나 응답 없음 현상 해결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특히 라데온 그래픽카드 사용자라면 이 설정 하나로도 큰 차이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
4. 하드웨어 가속 설정 조정
컴퓨터가 자리를 비운 후 멈추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하드웨어 가속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CPU 대신 GPU를 사용하여 작업 처리 속도를 높이는 기술이지만,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와 일부 소프트웨어 간의 호환성 문제로 인해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웹 브라우저나 윈도우 기본 앱에서 이 문제가 자주 발생합니다.
하드웨어 가속이란?
하드웨어 가속은 주로 영상 재생, 웹 렌더링, 그래픽 처리 등 고성능 작업을 할 때 GPU가 CPU의 부담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드라이버 충돌이나 호환되지 않는 설정으로 인해 시스템이 멈추거나 블랙스크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하드웨어 가속 비활성화 방법
구글 크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등에서 하드웨어 가속을 끄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설정(Settings) → 시스템(System) 또는 고급(Advanced) 메뉴 선택
- ‘가능한 경우 하드웨어 가속 사용’ 옵션을 찾아 끔으로 설정
- 브라우저 재시작
윈도우 하드웨어 가속 조정
Windows 11 및 일부 Windows 10 시스템에서는 그래픽 설정에서 하드웨어 가속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 → 그래픽 설정
- ‘하드웨어 가속 GPU 스케줄링’ 항목을 끔(Off)으로 설정
- 시스템 재시작
왜 비활성화해야 할까?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특정 환경에서는 하드웨어 가속이 프리징이나 렌더링 오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동영상 시청 중 멈춤 현상이나 다중 모니터 사용 시 화면 정지가 반복된다면, 이 설정을 조정함으로써 문제가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드웨어 가속은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시스템 안정성이 우선이라면 비활성화하고 문제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AMD 사용자라면 이 부분도 반드시 확인해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5. 전원 관리 설정 확인
자리 비움 후 컴퓨터가 먹통이 되는 문제는 단순히 하드웨어나 드라이버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의외로 전원 관리 설정이 원인인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절전 모드, 하드디스크 절전, USB 전원 절약 설정 등은 시스템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점검이 필요합니다.
전원 관리 설정이 중요한 이유
윈도우는 기본적으로 일정 시간 입력이 없으면 디스플레이를 끄거나 절전 모드로 진입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AMD 시스템과 호환되지 않는 절전 기능이 활성화되면, 다시 시스템을 활성화할 때 먹통이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SSD, 그래픽카드, 메모리와 관련된 절전 설정은 민감하게 작동합니다.
전원 관리 설정 조정 방법
다음 단계에 따라 설정을 점검하고 조정하세요:
- 제어판 → 전원 옵션 → 현재 사용 중인 전원 계획의 ‘설정 변경’ 클릭
- ‘고급 전원 관리 설정 변경’ 클릭
- 다음 항목을 확인 및 조정:
- 하드디스크: 일정 시간 후 끄기 → 사용 안 함
- USB 설정: 선택적 절전 모드 설정 → 사용 안 함
- PCI Express: 링크 상태 전원 관리 → 끔
- 프로세서 전원 관리: 최소 프로세서 상태 → 100%
추가 권장 설정
‘절전 모드로 전환 시간’을 너무 짧게 설정하지 말고, ‘디스플레이 끄기’는 설정하되, 절전 모드는 비활성화하는 것이 안정적인 운영에 도움이 됩니다. 고성능 모드 또는 균형 조정 모드를 사용하는 것도 추천됩니다.
왜 AMD 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할까?
일부 AMD 칩셋 드라이버는 절전 모드 복귀 시 메모리 및 저장 장치 인식에 오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원 관련 설정을 수동으로 최적화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전원 설정은 단순한 것 같지만, 시스템 안정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중요한 요소입니다. AMD 기반 PC에서 자리 비움 후 먹통 문제를 겪고 있다면, 전원 설정 점검은 필수 절차입니다.
가장 많이 찾는 글
컴퓨터 절전 모드와 최대 절전 모드의 차이점
절전 모드와 최대 절전 모드의 주요 차이점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배터리 절약을 위해 '절전 모드'와 '최대 절전 모드'를 활용하게 됩니다. 이 두 가지 모드는 전력 소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
it.rushmac.net
와이파이 주파수 대역별 차이점과 특징
공유기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와이파이 대역와이파이는 2.4GHz, 5GHz, 6GHz의 세 가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각 대역은 고유한 특징과 장단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면 자신의 사용 환경
it.rushmac.net
갤럭시 스마트폰 초기화: 설정과 리커버리 모드의 차이점 5가지
갤럭시 공장 초기화 방법 비교: 설정 vs 리커버리 모드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성능 저하나 오류로 인해 초기화를 고려하게 됩니다. 갤럭시 스마트폰에서는 두 가지 주요 초기화 방법이 있습
it.rushmac.net
결론
컴퓨터가 자리 비움 후 멈추는 문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방법들을 하나씩 적용해 보면서 자신의 시스템에 맞는 해결책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AMD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드라이버와 BIOS 설정을 주의 깊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T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이밍 PC 조립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5가지 핵심 요소 (0) | 2025.04.02 |
---|---|
외장하드 인식 문제 해결을 위한 5가지 방법 (0) | 2025.04.01 |
인텔 i시리즈와 제온 시리즈의 차이점 완벽 분석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