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0 정품 라이센스 이전, 기존 PC에서는 어떻게 될까?
윈도우 10을 정품으로 구매하여 설치한 후, 새로운 PC를 구매하면서 기존의 라이센스를 다른 PC에 적용하고 싶을 때, 기존 PC의 윈도우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한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처음사용자(Full Package Product, FPP) 버전과 OEM 버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자동적으로 비활성화되는지, 따로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죠.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 10 HOME 라이센스를 다른 PC에 적용하면 기존 PC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윈도우 10 라이센스 유형과 이전 가능 여부
윈도우 10의 라이센스는 크게 처음사용자용(FPP), OEM, 볼륨 라이센스로 구분됩니다. 각 유형마다 이전 가능 여부가 다르므로, 라이센스를 다른 PC에서 사용하고자 한다면 현재 사용 중인 버전이 어떤 유형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라이센스가 이전이 가능할까요?
FPP(처음사용자용) 라이센스 – 이전 가능
FPP(Full Package Product) 라이센스는 윈도우 10을 개별적으로 구매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즉, 박스 형태로 판매되는 제품 키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사이트에서 디지털 구매한 라이센스가 이에 속합니다.
- 다른 PC로 이전 가능
- 기존 PC에서는 자동으로 비활성화됨
- 마이크로소프트 계정(MSA)과 연동하면 더욱 편리
즉, 새로운 PC에서 정품 인증을 진행하면 기존 PC는 비활성화되며, 다시 사용할 경우 새로운 정품 인증이 필요합니다.
OEM 라이센스 – 이전 불가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라이센스는 PC 제조업체에서 기본적으로 설치하여 제공하는 라이센스입니다. 주로 노트북이나 브랜드 데스크톱에 미리 설치되어 판매됩니다.
- 다른 PC로 이전 불가능
- PC 하드웨어(메인보드)와 연결되어 있음
- 하드웨어 변경 시 인증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 높음
OEM 라이센스는 한 번 설치된 PC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새 PC로 이전이 불가능합니다. 즉, 기존 PC가 고장 나더라도 같은 라이센스를 새로운 기기에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처음부터 FPP 버전 구매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볼륨 라이센스 – 기업 및 단체용
볼륨 라이센스(Volume License)는 기업, 교육기관, 정부 기관을 위해 제공되는 라이센스입니다. 일반 사용자는 해당되지 않으며, 주로 대량으로 제공되는 라이센스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개인 PC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일반 사용자는 구매 및 이전이 불가능
- 기업에서 관리하는 방식에 따라 인증 방식이 다름
- KMS(키 관리 서비스) 방식으로 자동 활성화됨
이 라이센스는 특정 기업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되며, 개인 사용자가 이전하여 활용할 수 있는 라이센스가 아닙니다.
내 라이센스 유형 확인 방법
자신이 보유한 윈도우 10 라이센스가 어떤 유형인지 확인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면 됩니다.
slmgr /dli
위 명령어를 명령 프롬프트(cmd) 또는 PowerShell에서 실행하면 현재 사용 중인 라이센스 유형이 표시됩니다. 여기서 "Retail"로 표시되면 FPP, "OEM"이면 OEM 라이센스라는 뜻입니다.
윈도우 10 라이센스 이전 가능 여부 정리
라이센스 유형 | 이전 가능 여부 | 특징 |
---|---|---|
FPP(처음사용자용) | 가능 | 다른 PC에서도 재사용 가능, 기존 PC는 비활성화됨 |
OEM | 불가능 | PC에 귀속됨, 하드웨어 변경 시 인증 문제 발생 |
볼륨 라이센스 | 기업/기관용 | 일반 사용자 이전 불가능, KMS 방식 인증 |
결론적으로, 처음사용자용(FPP) 라이센스만 이전이 가능하며, OEM 및 볼륨 라이센스는 새로운 PC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만약 다른 PC로 라이센스를 옮기고 싶다면, 자신의 라이센스가 FPP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윈도우 10 라이센스를 다른 PC에서 사용하면 기존 PC는?
윈도우 10 라이센스를 새로운 PC에서 다시 사용하게 되면, 기존 PC는 어떻게 될까요? 이는 라이센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지만, 기본적으로 정품 인증이 자동으로 해제되거나 비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이 진행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새로운 PC에서 라이센스 인증을 하면 기존 PC는?
새로운 PC에서 윈도우 10 라이센스를 사용하고 정품 인증을 진행하면, 기존 PC에서는 정품 인증이 해제됩니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라이센스 정책에 따라, 하나의 제품 키는 단일 기기에서만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기존 PC의 윈도우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됨
- 일부 기능 제한(배경화면 변경 불가, 개인 설정 제한 등)
- 정품 인증을 요구하는 메시지 표시
즉, 기존 PC가 갑자기 작동하지 않거나 윈도우가 삭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정품 인증 상태가 풀려 사용에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OEM 라이센스의 경우, 기존 PC는?
OEM 라이센스는 특정 하드웨어(메인보드)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PC에서 사용하려고 해도 기존 PC에서 인증이 풀리지 않고 새로운 기기에서는 정품 인증이 되지 않습니다. 즉, 기존 PC는 정상적으로 유지되지만, 다른 PC에서 해당 라이센스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존 PC를 그대로 유지하는 방법
만약 기존 PC에서 정품 인증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PC에서도 윈도우 10을 사용하고 싶다면, 아래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PC에서 다른 정품 키를 사용하여 인증
- 기존 PC를 포맷하고 윈도우 10을 무료로 사용 (일부 기능 제한됨)
-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새로운 라이센스 구매
단, FPP 라이센스를 사용 중이라면 기존 PC에서 정품 인증이 해제되더라도 다시 동일한 키를 입력하면 재인증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공식적으로는 하나의 PC에서만 인증이 유지되므로, 새로운 PC에서 사용하게 되면 기존 PC는 정품 인증이 풀릴 확률이 높습니다.
정품 인증이 해제된 기존 PC, 다시 활성화할 수 있을까?
만약 기존 PC에서 정품 인증이 해제되었다면, 아래 방법으로 다시 인증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slmgr /ato
위 명령어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윈도우가 다시 정품 인증을 시도합니다. 하지만 동일한 라이센스가 이미 다른 PC에서 활성화된 경우, 다시 인증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기존 PC는 비활성화되지만 사용은 가능
새로운 PC에서 윈도우 10 라이센스를 사용하면, 기존 PC는 정품 인증이 해제되지만 사용 자체는 가능합니다. 단, 기능 제한이 발생하며, 정품 인증 메시지가 계속 표시될 수 있습니다. 특히 FPP 라이센스의 경우 기존 PC에서 다시 인증을 시도할 수 있지만, 공식적으로는 하나의 PC에서만 활성화가 가능하므로 새로운 PC에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면 기존 PC는 정품 인증 없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3. 기존 PC에서 자동으로 라이센스가 해제될까?
윈도우 10 라이센스를 새로운 PC에서 사용하면, 기존 PC에서 라이센스가 자동으로 해제될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자동 해제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입니다. 라이센스의 유형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인증 방식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FPP 라이센스의 경우, 자동 해제 가능성 높음
처음사용자용(FPP) 라이센스는 다른 PC로 이전이 가능한 라이센스이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서버에서 하나의 키가 여러 기기에서 사용되는 것을 감지하면 기존 PC의 인증이 해제됩니다.
- 새로운 PC에서 정품 인증을 하면 기존 PC는 자동으로 비활성화됨
- 기존 PC에서 정품 인증 필요 메시지가 나타남
- 일부 기능 제한 (예: 바탕화면 변경 불가, 개인 설정 제한)
즉, 새로운 PC에서 라이센스를 활성화하면 기존 PC는 자동으로 정품 인증이 해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이 즉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마이크로소프트의 서버에서 감지하는 시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OEM 라이센스의 경우, 기존 PC에서 해제되지 않음
OEM 라이센스는 특정 하드웨어(메인보드)와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PC에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새로운 PC에서 동일한 라이센스를 입력해도 인증되지 않으며, 기존 PC의 정품 인증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 OEM 라이센스는 하드웨어에 귀속되므로 이전 불가
- 기존 PC에서 자동 해제되지 않음
- 새로운 PC에서는 정품 인증 불가
즉, OEM 라이센스는 다른 PC에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기존 PC에서 자동으로 해제되지 않습니다.
정품 인증 해제 여부 확인하는 방법
기존 PC에서 라이센스가 해제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slmgr /xpr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라이센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정품 인증이 해제된 경우 "정품 인증이 필요합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기존 PC에서 강제로 라이센스 해제하는 방법
만약 기존 PC에서 라이센스를 강제로 해제하고 싶다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slmgr /upk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기존 PC에서 윈도우 10 라이센스가 제거됩니다. 이후 새로운 PC에서 해당 라이센스를 입력하여 정품 인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자동 해제될 가능성은 있지만 즉각적이지 않다
FPP 라이센스의 경우, 새로운 PC에서 활성화하면 기존 PC에서 자동으로 비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OEM 라이센스는 하드웨어에 귀속되므로 기존 PC에서 자동 해제되지 않으며, 다른 PC에서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4. 윈도우 정품 인증을 유지하는 방법
새로운 PC에서 윈도우 10 라이센스를 사용하면 기존 PC에서 정품 인증이 해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몇 가지 방법을 활용하면 윈도우 정품 인증을 유지하거나 복구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 계정(MSA)과 연동하면 더 편리하게 인증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4.1 마이크로소프트 계정(MSA)과 라이센스 연동
마이크로소프트 계정(Microsoft Account, MSA)과 라이센스를 연동하면, PC를 변경하거나 재설치해도 다시 정품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연동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정품 인증
여기서 "Windows가 디지털 라이센스를 통해 정품 인증되었으며 Microsoft 계정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보인다면, 이미 MSA와 라이센스가 연동된 상태입니다.
- 새로운 PC에서 동일한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라이센스를 이전할 수 있음
- 정품 인증이 해제된 경우, 다시 인증 시도 가능
- 하드웨어 변경 후에도 복구할 가능성 증가
4.2 기존 PC에서 정품 인증 유지하기
기존 PC에서 정품 인증을 유지하려면, 새로운 PC에서 다른 정품 키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기존 PC의 라이센스는 계속 유지되면서, 새로운 PC에서도 정상적인 윈도우 사용이 가능합니다.
- 새로운 PC에서 별도의 정품 키 입력
- 기존 PC에서 라이센스를 해제하지 않음
- 두 개의 PC에서 동시에 정품 윈도우 사용 가능
만약 기존 PC에서 이미 정품 인증이 풀렸다면? 다시 동일한 제품 키를 입력하여 정품 인증을 시도할 수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서버에서 동일한 키가 다른 기기에서 사용 중임을 감지하면 인증이 거부될 수도 있습니다.
4.3 기존 PC에서 정품 인증이 풀렸을 때 복구하는 방법
만약 기존 PC에서 정품 인증이 해제되었지만, FPP 라이센스를 사용 중이라면 다시 활성화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slmgr /ato
이 명령어는 정품 인증을 다시 시도하는 명령이며,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면 마이크로소프트 서버에서 다시 정품 인증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동일한 키가 다른 PC에서 활성화된 상태라면 인증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4.4 라이센스 문제 발생 시 고객센터를 통한 인증
만약 자동 정품 인증이 되지 않는다면, 마이크로소프트 고객센터를 통해 정품 인증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전화 인증을 통해 기존 PC에서 사용하던 라이센스를 새로운 PC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절차를 거치면 기존 라이센스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전화 인증 방법: slui 4 입력 후 화면 안내에 따라 진행
- 마이크로소프트 고객센터 연락 후 정품 인증 요청
- 정당한 이전 사유가 있다면 인증 성공 가능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연동이 핵심
윈도우 정품 인증을 유지하려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연동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계정과 연동되어 있다면, 하드웨어 변경이나 PC 변경 후에도 쉽게 정품 인증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PC에서 라이센스를 사용할 때 기존 PC에서 정품 인증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다른 정품 키를 사용하거나, 기존 PC의 정품 인증이 풀렸을 때 다시 활성화를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5. 라이센스 이전 시 주의할 점
윈도우 10 라이센스를 새로운 PC로 이전하려면 몇 가지 중요한 주의 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라이센스 유형에 따라 이전이 가능한 경우도 있고 불가능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정품 인증이 풀리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아래 사항을 체크하세요.
5.1 자신의 라이센스가 이전 가능한 유형인지 확인
FPP(처음사용자용) 라이센스는 다른 PC로 이전할 수 있지만, OEM 라이센스는 특정 PC에 귀속되어 있어 이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먼저 자신의 윈도우 라이센스 유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FPP(처음사용자용): 다른 PC로 이전 가능
- OEM(제조사 제공): 다른 PC로 이전 불가능
- 볼륨 라이센스: 기업용으로 개인 사용자 이전 불가
자신의 라이센스 유형을 확인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세요.
slmgr /dli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라이센스 유형이 표시되며, "Retail"이면 FPP(이전 가능), "OEM"이면 이전 불가능한 라이센스입니다.
5.2 기존 PC에서 라이센스 해제 후 이전
정상적으로 라이센스를 이전하려면, 기존 PC에서 먼저 라이센스를 해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라이센스 해제를 하지 않으면 마이크로소프트 서버에서 중복 사용을 감지하여, 새로운 PC에서 인증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기존 PC에서 라이센스를 해제하는 방법:
slmgr /upk
-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PC에서 정품 키가 제거됨
- 제거한 정품 키를 새로운 PC에서 입력하여 재활성화 가능
5.3 새로운 PC에서 정품 인증이 실패할 경우
새로운 PC에서 정품 키를 입력했는데 인증이 되지 않는다면, 마이크로소프트 서버에서 기존 PC에서 사용 중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럴 경우 다음 방법을 시도해 보세요.
- 기존 PC에서 인터넷 연결 해제 후 새로운 PC에서 인증 시도
- 새로운 PC에서 아래 명령어 실행
slmgr /ipk [제품키]
slmgr /ato
위 명령어를 사용하면, 기존 PC에서 라이센스가 풀렸다고 가정하고 새로운 PC에서 인증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5.4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연동 후 이전
마이크로소프트 계정(MSA)과 연동하면 라이센스 이전이 훨씬 쉬워집니다. 윈도우 10 라이센스가 계정과 연동되어 있다면, 새로운 PC에서 동일한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자동으로 정품 인증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연동 확인 방법: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정품 인증
"Windows가 디지털 라이센스를 통해 정품 인증되었으며 Microsoft 계정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보인다면 라이센스가 계정과 연동된 상태입니다.
5.5 전화 인증을 통한 이전
만약 온라인 인증이 되지 않는다면, 마이크로소프트 전화 인증을 통해 직접 정품 인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기존 PC에서 라이센스를 해제했지만, 새로운 PC에서 인증이 되지 않을 때 효과적입니다.
전화 인증 방법:
slui 4
- 지역별 마이크로소프트 고객센터 번호가 표시됨
- 음성 안내에 따라 기존 라이센스를 이전한다고 설명
- 인증 코드를 받아 입력하면 정품 인증 완료
정품 키가 정당하게 구매된 경우라면, 전화 인증을 통해 새로운 PC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 라이센스 이전 시 반드시 해제 후 진행
윈도우 10 라이센스를 이전하려면, 반드시 기존 PC에서 라이센스를 해제한 후 새로운 PC에서 인증해야 합니다. FPP 라이센스의 경우 이전이 가능하지만, OEM 라이센스는 이전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연동하면 이전 과정이 더욱 수월해질 수 있으며, 만약 온라인 인증이 실패하면 전화 인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가장 많이 찾는 글
노트북 와이파이 끊김 현상: 5가지 주요 원인과 해결 방법
와이파이 연결 불안정 문제 해결을 위한 가이드노트북을 사용하다 보면 와이파이 연결이 갑자기 끊어져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각
it.rushmac.net
최적의 컴퓨터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 5가지 필수 팁
KT 기가 와이파이에서 Wi-Fi 6E 최대한 활용하기최근 Wi-Fi 기술의 발전으로 더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이 가능해졌습니다. 특히, KT 기가 와이파이와 같은 최신 장비를 사용하면서도 기대한 속
it.rushmac.net
10년 된 데스크탑 모니터, 교체해야 할까요?
데스크탑 모니터의 평균 수명과 교체 시기데스크탑 모니터는 우리의 일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사용 기간이 길어지면 교체 시기를 고민하게 되는데요, 특히 10년 이상 사용한 모니
it.rushmac.net
결론
윈도우 10 라이센스는 유형에 따라 다른 PC에서 다시 사용할 수 있지만, 기존 PC에서 자동으로 비활성화되거나 삭제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PC에서 정품 인증을 하게 되면 기존 PC는 "정품 인증 필요"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려면 MS 계정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라이센스 이전 시 주의해야 할 점을 숙지하고, 문제 발생 시 해결 방법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IT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백업, 클라우드 vs 물리 저장 장치? 최적의 방법은? (0) | 2025.03.06 |
---|---|
골전도 이어폰이 일반 이어폰보다 좋은 점 5가지 (0) | 2025.03.05 |
아이에게 TV, 스마트폰 노출 언제부터가 적절할까?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