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M.2 SSD 추가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5가지

반응형
반응형

노트북 M.2 SSD 추가할 때
노트북 M.2 SSD 추가할 때

M.2 SSD 추가 설치 방법과 호환성 체크 가이드

노트북에 추가로 M.2 SSD를 장착하려고 할 때, 단순히 "같은 M.2 SSD면 다 된다"라고 생각하면 큰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M.2 SSD에는 다양한 규격과 인터페이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노트북과 호환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노트북에 M.2 SSD를 추가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5가지 요소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또한, M.2 SSD를 올바르게 선택하고 설치하는 방법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M.2 SSD의 폼팩터(크기) 확인

 

노트북에 M.2 SSD를 추가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폼팩터(Form Factor), 즉 SSD의 크기입니다. M.2 SSD는 일반적으로 2280, 2230, 2242 등의 숫자로 표기되며, 이는 너비와 길이를 의미합니다.

M.2 SSD 숫자의 의미

M.2 SSD의 크기는 네 자리 또는 다섯 자리 숫자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M.2 2280"이라고 하면,

  • 22mm → SSD의 너비
  • 80mm → SSD의 길이

즉, M.2 2280 SSD는 22mm x 80mm 크기의 SSD를 의미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M.2 SSD 폼팩터

노트북에서는 대부분 M.2 2280 규격을 사용하지만, 일부 슬림형 노트북이나 미니 PC에서는 더 작은 M.2 2230, 2242 폼팩터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M.2 폼팩터 크기(너비 x 길이) 사용 환경
M.2 2280 22mm x 80mm 일반적인 노트북, 데스크탑
M.2 2230 22mm x 30mm 초슬림 노트북, 태블릿
M.2 2242 22mm x 42mm 소형 미니 PC, 일부 노트북

노트북이 지원하는 폼팩터 확인 방법

M.2 SSD의 폼팩터는 노트북의 슬롯 크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조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노트북 모델의 SSD 지원 사양을 확인
  • 기존에 설치된 SSD를 분해하여 크기를 직접 측정
  • HWiNFO, CPU-Z 같은 소프트웨어로 슬롯 정보 확인

만약 슬롯 크기보다 긴 SSD를 구입하면 장착이 불가능하거나 고정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너무 짧은 SSD를 사용하면 제대로 장착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정확한 폼팩터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폼팩터 확인이 중요한 이유

M.2 SSD를 추가하려면 단순히 "M.2 SSD면 다 된다"가 아니라, 노트북에서 지원하는 폼팩터를 정확히 파악한 후 구매해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 가장 일반적인 크기는 M.2 2280 (22x80mm)
  • 슬림형 노트북이나 미니 PC는 M.2 2230, 2242를 사용할 수도 있음
  • 노트북의 사양을 먼저 확인하고 적합한 SSD를 선택해야 함

다음 단계에서는 M.2 SSD의 인터페이스(NVMe vs SATA)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SSD 쓰기 수명, 얼마나 지속될까? 5가지 핵심 포인트

2. NVMe vs SATA 인터페이스 차이

 

노트북에 M.2 SSD를 추가하려면 NVMe와 SATA 인터페이스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M.2 SSD니까 다 되겠지"라고 생각하면 큰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두 인터페이스는 속도, 호환성, 연결 방식에서 차이가 있으며, 노트북이 어떤 방식의 M.2 SSD를 지원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2.1 NVMe와 SATA의 속도 차이

NVMe(Non-Volatile Memory Express)PCIe(PCI Express)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빠른 속도를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읽기/쓰기 속도가 3,000MB/s~7,000MB/s에 이를 수 있습니다. 반면, SATA 인터페이스는 최대 550MB/s 정도의 속도를 제공합니다.

즉, NVMe SSD는 SATA SSD보다 5~10배 빠른 성능을 제공합니다. 특히 게임, 영상 편집, 데이터 처리 등 대용량 파일을 자주 다루는 작업에서는 NVMe SSD가 월등한 성능 차이를 보입니다.

2.2 호환성과 슬롯 확인

모든 노트북이 NVMe SSD를 지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노트북의 M.2 슬롯이 NVMe 전용인지, SATA 전용인지, 혹은 둘 다 지원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NVMe 전용 슬롯: NVMe SSD만 장착 가능
  • SATA 전용 슬롯: SATA SSD만 장착 가능
  • NVMe + SATA 겸용 슬롯: NVMe 또는 SATA SSD 모두 장착 가능

슬롯 타입은 노트북 제조사 공식 홈페이지나 메인보드 사양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3 NVMe와 SATA 구별 방법

M.2 SSD의 키(Key) 방식을 보면 NVMe인지 SATA인지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구분 NVMe SSD SATA SSD
인터페이스 PCIe (NVMe 프로토콜) SATA (AHCI 프로토콜)
속도 3,000MB/s ~ 7,000MB/s 최대 550MB/s
키 슬롯 M 키 또는 M+B 키 B 키 또는 M+B 키

2.4 NVMe와 SATA 선택 기준

그렇다면 NVMe와 SATA SSD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요?

  • 최고의 속도를 원한다면? → NVMe SSD
  • 저렴한 가격과 가성비를 고려한다면? → SATA SSD
  • 노트북이 SATA SSD만 지원한다면? → SATA SSD
  • 게임, 영상 편집, 데이터 분석을 한다면? → NVMe SSD

2.5 설치 전 꼭 확인해야 할 것

M.2 SSD를 추가할 때는 노트북의 슬롯이 NVMe 전용인지, SATA 전용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슬롯에 맞지 않는 SSD를 구매하면 장착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NVMe는 속도가 빠르지만 가격이 비싸고, SATA는 속도는 느리지만 가격이 저렴한 편입니다. 용도와 예산을 고려하여 적절한 SSD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PCIe 버전 및 대역폭 호환성

 

M.2 SSD를 추가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버전 및 대역폭 호환성입니다. 노트북에 따라 지원하는 PCIe 버전이 다르며, 호환되지 않는 SSD를 장착하면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PCIe 버전을 확인해야 하고, 대역폭 차이는 무엇일까요?

PCIe 버전별 속도 차이

현재 M.2 NVMe SSD는 PCIe 3.0, PCIe 4.0, 그리고 최신 PCIe 5.0을 지원하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각 버전에 따른 대역폭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PCIe 버전 대역폭(레인당) 4레인(×4) 기준 속도
PCIe 3.0 8 GT/s 약 3,500MB/s
PCIe 4.0 16 GT/s 약 7,000MB/s
PCIe 5.0 32 GT/s 약 14,000MB/s

예를 들어, 노트북이 PCIe 3.0까지만 지원하는데 PCIe 4.0 SSD를 장착하면 어떻게 될까요? 이 경우, SSD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최대 PCIe 3.0 속도로 제한됩니다. 반대로, PCIe 3.0 SSD를 PCIe 4.0 슬롯에 꽂아도 SSD 자체가 3.0 속도로 동작합니다.

노트북의 PCIe 버전 확인 방법

노트북이 지원하는 PCIe 버전을 확인하려면 다음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제조사 공식 스펙 확인: 노트북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SSD 슬롯이 지원하는 PCIe 버전을 확인합니다.
  • HWinfo64 또는 CPU-Z 활용: 무료 프로그램을 이용해 M.2 슬롯의 PCIe 버전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 SSD 장착 후 확인: SSD를 설치한 후 CrystalDiskInfo 같은 소프트웨어로 연결 속도를 확인하면 정확한 PCIe 동작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PCIe 레인(x4, x2)의 차이

M.2 NVMe SSD는 보통 PCIe ×4 레인을 사용하지만, 일부 노트북은 PCIe ×2 슬롯만 제공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SSD의 최대 속도가 절반으로 감소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CIe 3.0 ×4 SSD는 최대 3,500MB/s 속도를 낼 수 있지만, 만약 슬롯이 PCIe 3.0 ×2라면 최대 1,800MB/s 정도로 제한됩니다. 따라서, SSD를 구매하기 전에 노트북이 PCIe ×4를 지원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PCIe 호환성 정리

PCIe 버전이 낮으면 높은 버전 SSD를 꽂아도 속도가 제한됨
PCIe ×2 슬롯이면 SSD 최대 속도가 절반으로 감소
최신 PCIe 4.0/5.0 SSD를 사용하려면 노트북이 해당 버전을 지원하는지 확인 필요

결론적으로, M.2 SSD를 추가할 때는 노트북의 PCIe 버전과 레인 구성을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호환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SSD를 선택하면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가상메모리를 쓰면 SSD 수명이 줄어드나요? 진실과 오해

4. 슬롯 지원 여부 및 바이오스 설정

반응형

M.2 SSD를 추가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노트북의 슬롯 지원 여부입니다. 단순히 물리적인 슬롯이 존재한다고 해서 모든 M.2 SSD가 호환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바이오스(BIOS) 설정에 따라 추가한 SSD가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4.1 M.2 슬롯이 지원하는 SSD 유형 확인

M.2 슬롯은 SATA 방식과 NVMe 방식으로 나뉘며, 지원하는 SSD 유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슬롯이 SATA 전용이라면 NVMe SSD를 꽂아도 인식되지 않습니다. 반대로 NVMe 전용 슬롯이라면 SATA M.2 SSD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확인 방법:

  • 제조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노트북 사양을 확인
  • 노트북 모델명 + "SSD 호환성" 검색
  • 기존 장착된 SSD의 인터페이스 확인

4.2 듀얼 슬롯인지, 단일 슬롯인지 확인

노트북에 M.2 슬롯이 2개 이상 있는 경우, 각 슬롯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지, RAID 설정이 필요한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일부 노트북은 두 번째 슬롯이 보조 저장소 전용으로 작동하거나, 특정 설정을 해야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확인 방법:

  • 바이오스(BIOS) 설정에서 Storage Configuration 항목 확인
  • 메인보드 메뉴얼에서 지원되는 슬롯 정보 확인
  • 이미 추가된 SSD가 있는 경우, 디스크 관리에서 제대로 인식되는지 확인

4.3 바이오스에서 SSD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M.2 SSD를 장착했는데도 바이오스에서 인식되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볼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 CSM(Compatibility Support Module) 설정 변경: 일부 NVMe SSD는 CSM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인식되지 않을 수 있음
  • SATA 모드 변경: "RAID" 모드가 아닌 "AHCI" 모드로 설정
  • PCIe 슬롯 활성화 여부 확인: 일부 노트북은 PCIe 슬롯을 수동으로 활성화해야 함
  • 바이오스 업데이트: 최신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호환성 문제 해결

4.4 윈도우 디스크 관리에서 SSD가 보이지 않는다면?

바이오스에서는 인식되지만, 윈도우에서 SSD가 보이지 않는 경우 디스크 초기화 및 볼륨 생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1. Win + X 키를 눌러 "디스크 관리" 실행
  2. 새롭게 추가된 SSD를 찾아 "디스크 초기화" 선택
  3. GPT 또는 MBR 파티션 방식 선택 후 "확인"
  4. 새 볼륨을 생성하고 포맷 진행

4.5 바이오스 설정 후에도 인식되지 않는다면?

위 방법을 모두 시도했는데도 M.2 SSD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다음을 확인해 보세요.

추가 점검 사항:

  • SSD 자체의 불량 여부 테스트 (다른 PC나 외장 어댑터 사용)
  • 다른 슬롯에 장착해서 테스트
  • 노트북의 PCIe 레인 제한 여부 확인

노트북에 M.2 SSD를 추가할 때는 슬롯의 지원 유형과 바이오스 설정을 제대로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미리 체크하지 않으면 SSD를 구매하고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니, 위 내용을 참고하여 신중하게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5. 추가 SSD 설치 방법 및 주의사항

노트북에 M.2 SSD를 추가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한 작업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놓치면 SSD가 인식되지 않거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절에서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SSD 설치 방법과 주의사항을 단계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5.1 SSD 설치 전 준비해야 할 것

SSD를 장착하기 전에 호환성 확인필수 도구 준비가 필요합니다.

  • SSD 호환성 체크: 폼팩터(크기), 인터페이스(NVMe 또는 SATA), 슬롯 지원 여부 확인
  • 필요한 도구: 작은 십자 드라이버, 정전기 방지 장갑(선택 사항)
  • 바이오스 업데이트: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인식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음

5.2 M.2 SSD 장착 방법

설치 과정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정확하게 따라야 합니다.

  1. 노트북 전원 차단: 완전히 꺼진 상태에서 어댑터 및 배터리를 분리합니다.
  2. 노트북 뒷면 분해: SSD 슬롯이 있는 부분의 나사를 제거하고 커버를 엽니다.
  3. SSD 장착: 슬롯에 약 30~45도 각도로 삽입한 후, 가볍게 눌러 나사로 고정합니다.
  4. 노트북 재조립: 커버를 닫고 나사를 다시 조여 줍니다.
  5. 전원 연결 후 확인: 노트북을 켜고 바이오스(BIOS)에서 SSD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는지 확인합니다.

5.3 SSD 인식 및 포맷하기

설치 후 운영체제에서 SSD가 보이지 않는다면 디스크 관리(Disk Management)에서 포맷 및 볼륨 할당이 필요합니다.

  1. Windows + X 키를 누른 후 "디스크 관리"를 선택합니다.
  2. 새로 추가된 SSD가 보이면 GPT 또는 MBR 형식으로 초기화합니다.
  3. 파일 시스템을 NTFS로 설정하고 볼륨을 생성한 후 포맷을 진행합니다.

5.4 주의해야 할 사항

1) 방열판이 필요한가?
고성능 NVMe SSD의 경우 발열이 심할 수 있으므로 방열판을 부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노트북 내부 공간이 협소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미리 확인하세요.

2) SSD가 인식되지 않을 때
만약 SSD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아래 문제를 체크하세요.

  • 바이오스에서 SSD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
  • SSD가 슬롯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다시 확인
  • PCIe 버전 또는 NVMe/SATA 인터페이스가 노트북과 호환되는지 점검
  • Windows 디스크 관리에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되었는지 확인

노트북에 M.2 SSD를 추가하는 것은 저장 공간을 늘리고 속도를 개선하는 최고의 업그레이드 방법입니다. 하지만 호환성 체크, 올바른 설치 절차, 포맷 및 설정 과정을 철저히 따라야만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을 참고하여 안전하게 SSD를 장착하고 활용하세요!

가장 많이 찾는 글

노트북 성능 확인, 꼭 알아야 할 5가지

노트북 구매 전에 성능 체크하는 핵심 포인트노트북은 일상생활에서 필수품이 되었지만, 막상 구매하려고 하면 수많은 옵션에 압도되기 쉽습니다. 특히 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을 모르면 사용 목

it.rushmac.net

게이밍 노트북을 고를 때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핵심 사양

고사양 게임을 위한 게이밍 노트북 선택 가이드게임의 몰입도를 높이고 원활한 플레이를 즐기기 위해 게이밍 노트북을 선택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고사양 게임을 구동하려면 단순히 가

it.rushmac.net

가성비 좋은 대학생 노트북 5가지 선택 꿀팁

대학생에게 딱 맞는 노트북 찾는 방법대학생 시절은 과제와 발표 준비, 팀 프로젝트, 취업준비 등 다양한 일을 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이때, 가성비가 좋은 노트북은 필수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

it.rushmac.net

결론

노트북에 M.2 SSD를 추가할 때는 폼팩터, 인터페이스(NVMe 또는 SATA), PCIe 버전 호환성, 슬롯 지원 여부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바이오스 설정 변경이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설치 후 제대로 인식되는지 확인하는 과정도 중요합니다. M.2 SSD 추가는 저장 공간을 확장하고 성능을 향상하는 최고의 업그레이드 방법 중 하나이므로, 위 내용을 참고하여 올바르게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